![]() |
(사)대한불교청년회에서 우리말 팔만대장경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보급한다.
대한불교청년회는 우리말 팔만대장경 편찬에 앞장서왔던 만큼 이번엔 우리말 팔만대장경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했다.
대한불교청년회는 경전 한글화 사업에 매진했던 만해스님의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우리말 팔만대장경 편찬 사업을 추진해왔다. 청년 불자의 100일 기도와 함께 진행된 우리말 팔만대장경 불사는 위원장 권상로스님, 부위원장 운허스님, 김동화 교수 외에도 청담, 성철, 자운, 추담, 일타, 탄허, 관응스님과 김대은스님, 서경보스님, 김달진 시인, 김법린 전 문교부 장관, 김잉석, 우정상, 이은상, 이종익, 임석진, 조명기, 홍정식, 황의돈 교수 등이 편집위원으로 법정스님, 윤문을, 손창대, 목정배 교수등이 편집과 교정에 힘을 실는 등 한국불교의 선교율을 대표하는 스님과 학자들이 대거 참여하였고, 마침내 1963년 6월 8일 출간하였다.
이 후, 역경사업의 시발점으로 동국역경원이 설립되고, 불경의 한글화 작업이 진행 발전 되었다. 더불어 초조대장경 간행 1000년을 기념하여 2011년 ‘우리말 팔만대장경’ 개정신판을 출간하였다. 개정신판은 원본의 내용과 편제를 그대로 살리면서 세로쓰기였던 책의 판형을 가로쓰기로 바꾸고 현대어에 맞게 표기를 다듬어 대중에게 더욱 쉽게 부처님 말씀을 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팔만대장경의 모든 내용을 담고 있는 우리말 팔만대장경은 현재 앱스토어, 구글플레이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하며 주요기능으로는 TTS (Text To Sound) 서비스 방식을 통한 텍스트를 음성지원하는 가능(오디오북)이 가능하다. 이는 어르신 및 시각장애인 분들이 원활한 사용을 도울 것이며, 일반 불자들 역시 출퇴근 및 등하교 시간 지하철이나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자가용을 운전할 시에도 원활히 사용할 수 있어 활용 빈도가 높을 전망이다. 현재 이 기능은 기계식 음성으로 지원되고 있다. 향 후 직접 음성 녹음을 하는 등 기능보강을 하여 불자들이 우리말 팔만대장경울 쉽게 접하여 대장경의 대중화와 불자들의 신행을 도울 것으로 보인다.